실버 푸드~ 실버 푸드~

  • 등록 2025.02.09 15:45:51
크게보기

실버 푸드~ 실버 푸드~

 

  실버 푸드란?

  실버 푸드는 노인들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건강한 노후를 지원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식품을 의미합니다. 노화로 인한 신체 기능의 변화, 예를들어 소화 능력 저하, 치아 문제, 미각 감퇴 등을 고려해 개발됐습니다. 실버푸드는 단순히 먹기 쉬운 음식을 넘어, 노인들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실버 푸드는 고령친화식품으로 시니어 푸드, 케어 푸드, 개호식품(일본)고령친화식품은 시니어 푸드, 케어 푸드, 실버 푸드, 개호식품(일본) 등으로도 불리며 음식물의 섭취와 소화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식품을 뜻합니다. 넓은 의미로는 특수용도식품,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한국산업표준 기준에 따르면 고령자의 식품 섭취· 소화·흡수·대사 등을 돕기 위해 식품의 물성 및 영양 성분 등이 일정 수준을 충족하도록 제조·가공한 식품입니다. 1단계(치아 섭취), 2단계(잇몸 섭취), 3단계(혀로 섭취)로 분류됩니다.

 

 

                                         <고령인구(65세 이상) 및 구성비 추이> . 통계청

 

  한국의 고령인구 비중의 증가

  한국 역시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급속히 초고령사회로 들어서고 있습니다. 2070년에는 고령인구의 비중이 점점 늘어나 46.4%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실버푸드

  이에 따라 한국의 실버푸드의 시장 또한 급속한 성장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에이징아시아 얼라이언스에 따르면 2025년 중국은 2조 6109억달러, 일본8843억달러, 한국은 그 뒤를 이어 2897억달러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식품시장에서도 줄지어 실버푸드 개발과 출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식물성대체식품, 장내 미생물 검사 활용, 화이트바이오 등으로 고품질 상품, 서비스 확대뿐 아니라 글로벌 경쟁력도 키우고 있습니다. 정부는 고령자를 위한 식품개발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고령친화식품 지정제도’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2023년 25개 기업의 총 113개 제품에 대해 고령친화우수식품으로 지정하였습니다.

 

  앞으로의 실버푸드는 개인맞춤이 중요

  이와 더불어 필요한 것이 개인의 건강상태와 영양요구량을 고려한 선택 가이드입니다. 다양한 실버푸드를 선택할 때 개인의 건강상태와 영양 요구량 뿐 아니라, 만성 질환 여부와 해당 질환에 적합한 영양 성분, 복용 중인 약물과의 상호작용, 제품의 질감과 맛의 기호 등 개인맞춤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

 

                                                                                                            더 Culture 강지은 기자

강지은 기자 zulu7979@hanmail.net
Copyright @더Culture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