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 입에서 뿜어져 나온 해치

용의 입에서 뿜어져 나온 해치

 

 

  2023년 광화문 앞 월대가 새로 놓이면서 광화문 앞 동물도 2마리에서 6마리로 늘어났습니다. 2마리는 예전부터 광화문 앞을 지키고 있던 늠름한 두 마리의 ‘해치’니다. 해치는 ‘해태라고도 하는데 상상 속의 동물로 선악을 구분하는 동물입니다. 머리에 난 뿔로 악한 자를 들이받거나 사나운 이빨로 악한 자를 물어뜯는다고 합니다. 특히 광화문의 해치는 관악산의 불기운을 막아내는 특별한 임무도 부여받았습니다.

 

  광화문 앞 월대는 세종이 반대한 이후 설치되지 않았다가, 흥선대원군이 임진왜란 때 불탄 광화문을 새로 짓는 과정에서 월대도 같이 지었다고 합니다. 일제 때 광화문 앞으로 전철이 놓이면서 월대도 훼철되어 이번에 복원한 것이죠. 월대에는 난간석이 둘러쳐 있었고 임금이 다니는 중앙계단 옆에 동물이 장식된 등석이 있었습니다.

 

  다행히 월대에서 사라진 난간석과 등석의 일부가 발견되었습니다. 동구릉에 난간석의 일부와 입 벌린 용이 조각된 용등석(용두석)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등석의 앞부분에 해당되는 해치(?)등석이 용인 호암미술관 야외전시실에 놓여 있습니다. 복원된 월대를 보면 원래 월대에 있었던 돌과 새로 만든 돌이 뒤섞여 있는 걸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월대 등석의 두 동물에 대해서 경복궁 중건 때 일기인 《경복궁영건일기》에는 특별한 언급이 없습니다. 다만 영건일기에 근정전 월대 계단의 등석을 ‘용두(龍頭)’라고 한데서 ‘용’에 가까운 동물로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월대 등석의 입 벌린 동물은 용으로 보지만, 등석 앞에 앞발을 모은 동물은 해치(또는 이문)로 보고 싶습니다. 월대 등석의 두 동물을 보면 입 벌린 용에서 새로운 동물이 뿜어져 태어나는 모양을 연상시킵니다.

 

  용의 입에서 새로운 생명체가 태어나는 장면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오래전 청동기시대까지 올라갑니다. 범의 입에서 아이가 태어나는 모습의 청동제기가 있습니다. 서기 2세기로 추정되는 중국 산동의 무씨사당화상석에는 곰과 함께 춤을 추는 호랑이의 입에서 아이가 나오는 그림이 새겨져 있습니다. 백제의 유명한 백제금동대향로는 6세기 후반 위덕왕이 죽은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만든 향로의 연꽃도 용의 입에서 힘차게 뿜어져 나오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예로 볼 때 월대 등석의 해치도 입 벌린 용의 입에서 태어난 것으로 해석해 본 것입니다.

 

  월대 중앙 계단 옆 등석의 두 마리 해치는 앞발을 모으고 곰곰이 생각하는 모습으로 오늘도 광화문 거리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흥선대원군이 새로 쌓은 월대는 왕의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설치한 것이라 일반 백성이 접근하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21세기 민주공화국의 월대는 국민과 소통하는 자리이고 국민의 마음을 한데 모으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선과 악이 뒤섞인 무질서의 세계가 되어 버렸습니다. 묵은 질서를 해체하고 새로운 질서를 회복할 새로운 해치가 절실히 필요한 때입니다. 법관이 쓰는 모자를 해치관이라고 합니다. 그 어느 때보다 해치관의 역할이 막중한 때입니다. 광화문 월대 앞 네 마리의 해치는 말이 없지만, 그들의 늠름한 모습과 생각에 잠긴 모습에서 새로운 선의 세계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위안을 느껴봅니다.

 

명협 조경철, 연세대학교 사학과 객원교수

전)한국사상사학회 회장

naraname2014@naver.com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