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는 가장 마지막에 먹는다 얼마 전, 개봉한 영화 <모가디슈>는 대한민국이 UN가입을 위해 동분서주하던 1991년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의 내전을 다루고 있습니다. 내전을 피해 탈출 비행기를 타기 위해 남측과 북측의 대사관이 협력하여 위기를 극복한다는 내용입니다. 개봉하자마자 방콕에 지친 사람들을 영화관으로 이끌어 올해 들어 처음 관객 200만을 돌파한 영화이기도 합니다. 이 영화와 비슷한 상황이 2021년 현실에서도 나타났는데 바로 ‘미군의 아프간 철수’입니다. 얼마 안되어 아프간 내 최후의 미군 병력이 긴박하게 철수하는 장면을 뉴스에서 보았습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철군 시각에 맞춰 수송기 다섯 대에 나누어 떠나는 미군 병력 500~600명을 취재한 뉴스였습니다. 사뭇 전쟁을 방불케 하는 긴박한 장면들을 통해 현지의 혼돈과 급박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시간과 공간이 허용하는 한 최대한 많은 기밀 서류들, 장비 등을 싣고 가져갈 수 없는 무기와 장비는 철저히 파괴하여 탈레반이 활용하지 못하도록 해야 하는 숨 가쁜 상황이었고, 준비된 수송기가 이륙하면 더 이상 아프가니스탄을 빠져나오는 교통편은 없기 때문이었습니다. 미 국
초기 해양문화를 주도한 동서양의 리더십과 그 리더십이 정상적으로 발휘되기 위해 필요한 사회문화적 시스템동양: 장보고(통일신라), 정화(명나라), 서양: 콜럼버스(이탈리아), 넬슨(영국) 우리가 살고있는 시대는 현재 해양문화의 패권을 이어가는 미국이 전세계를 주도하는 가운데 우주문화를 개척해야할 시대로의 전환을 코앞에 두고 있습니다. 우주문화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대륙문화에서 초기 해양문화로의 전환기에 역사적 포문을 여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동서양 리더들의 성공과 실패와 그 원인들을 개인적 사회문화적 시각에서 재평가해보고, 시대를 앞선 이들의 리더십을 배우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 새로운 시대인 우주시대를 열기 위해 어떤 리더십을 가진 인물이 필요한가에 대한 어느 정도 기준점을 마련하기 위해서도 그러합니다. 초기 해양문화를 주도한 동양/서양 4명의 리더십과 그 실패와 성공을 유도한 사회문화적 시스템 초기 해양문화의 리더십 비교를 위해 동양(장보고, 정화)과 서양(콜럼버스, 넬슨)에서 각각 2명을 선정하였습니다. 4명의 인물들은 각기 처한 시대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그들이 이룬 업적의 역사적 의미도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초기 해양문화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