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행동은 구조의 신호’
‘문제행동은 구조의 신호’ ‘문제행동은 구조의 신호’라는 《공부 상처》(저자 김현수) 선생님 말씀을 현장에서는 종종 잊는다. 마음이 가지 않고, 문제행동 때문에 상처받는 탓에 방어하기 바쁘니 여유가 없어서다. 그날은 모처럼 선생님 말씀을 되새겨보자고 다짐하고 일과를 시작했다. 교실에서 외톨이로 떨어져 있어 이미 공지된 수행평가 날짜를 본인만 모르는 여학생이 있었다. 《이기적 유전자》 원서를 책상 위에 펴놓고는 졸기 일쑤인 아이였다. 선생님들과 계속 다투고 끝내는 언짢게 돌아가서 교무실에서는 위험 학생으로 점찍고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아이는 4교시 수업 전 찾아와 보건실에 가서 누워있겠다고 확인을 받으러 왔다. 알겠다고 하고 수업을 들어가면서 후문을 보니 닌자처럼 담을 넘는다. 5교시는 부담임 임장지도(현장수업)라 수업에 들어가니 허겁지겁 아이가 자리에 앉으면서 휴우 부채질을 한다. 마치 안 들키고 무사히 들어온 것에 자축하듯이. 복도로 불러 담 넘은 이유를 묻고 그동안 관찰했던 이야기를 전하면서 이런저런 당부를 했다. 아이들과 어울리고 싶지 않다는 이야기부터 생리통이 심하다는 이야기까지 그저 변명을 일관하는 말뿐이었다. 초반에는 노력하다가도 조금만 시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