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위한 가장 멋지고, 훌륭한 선택!틈새 쪼개 70개국 여행한, 정금선 여행가 ‘내 딸이 선생님이 된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 몸이 너무 약해 야단 한 번 들어본 적 없이 성장한 어린 시절. 부모님은 공부보다는 건강하게만 자라 줄 것을 바라셨죠. 뭐가 되겠다는 특별한 꿈은 없었으나 아픈 사람을 보면 간호사가 되고 싶었고, 장애인을 보면 그 장애인의 손, 발, 눈이 되고 싶었습니다. 무용 발표회에 가면 무용가, 바이올리니스트나 피아니스트를 보면 연주가, 미술 전람회를 가면 화가가 되고 싶었어요. 특별하게 잘하는 것이 없고 그나마 내가 남보다 잘하는 것 중 하나는, 한 번 자리에 앉으면 그 일을 마칠 때까지 있는 듯 없는 듯 혼자 앉아 끝까지 해낸다는 것이었죠. 서울로 올라와 대학 생활을 하면서 꿈이라기보다는 하고 싶은 게 너무 많았어요. 하지만 이번에도 건강의 문제로 4학년 때 고향으로 내려가야 했어요. 부모님 곁에서 교생실습을 하며 ‘선생님이 되자’고 저의 꿈을 굳혔습니다. 이런 저의 모습을 보고 아버지는 제가 선생님이 된다면 섬지방까지 따라오셔서 밥도 해주고 옷도 다려주신다 하셨죠. ‘내 딸이 선생님이 된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는 최고의 믿
스웨덴에서 온 벤자민 나를 이모라 부르는데… “벤, 배고프지?” “네, 이모 배고파요! 얼마 동안 잠을 잤는지 모르겠어요. 아마도 이틀 동안 잔 것 같아요.” 깨지 않아서 조금 걱정이 되기는 했지만, 실컷 자도록 내버려 두었더니 죽은 듯이 자다가 겨우 몸을 일으켜서 밖으로 나왔다. “오랜만에 편한 침대에서 자니까 잠이 더 잘 온 것 같아요,” 스웨덴에 살고 있는 벤은 남미의 페루 마추피추에 여행을 갔다가 한국으로 다시 여행을 왔다. 남미에서 배낭여행을 했는데, 텐트에서도 자고 가끔 숙소에서 자기는 했지만 잠자리가 편하지 않았던 모양이다. 나를 이모라 부르는 벤은 정작 이모 노릇을 제대로 하지도 못하는 나에게 꼬박 이모라고 살갑게 부른다. 페루의 전통 모자와 차를 선물로 사왔다. 이모라고는 불리지만 멀리 있는 이유도 있고, 다 큰 청년에게 내가 특별히 잘 해 줄 일도 딱히 없어서 그냥 그냥 지내고 있다. 이렇게 이모라 불리니 조금 미안한 마음까지 스멀스멀 올라왔다. 모두에게 사랑받는 벤 3년 전에 벤은 한국에서 1여 년 남짓 지냈다. 스웨덴으로 돌아가기 전에 우리 집에서 한 달을 함께 살았다. 요즘 청년답지 않게 벤은 26살 정도의 나이 또래에 비해 훨씬 성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