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문법이야기 20]‘Per Aspera Ad Astra (역경을 넘어 별에 이르도록)’ 겨울 요트 여행기 (5) 새벽 5시, 배를 묶어둔 낚싯배에 인기척이 들려 잠을 깼다. 항구 안에는 아직 12월의 어둠이 가득, 미명도 느껴지지 않는다. 옆 낚싯배가 곧 출항을 할 것 같아 황급히 크루들을 깨우고 줄을 풀러 후진으로 요트를 뺐다. 깨자마자 잠옷도 갈아입지 못한 채 두꺼운 파카 하나만 걸치고 작은 항 안에서 출항하는 새벽 배들을 이리저리 피하며 요트를 조종했다. 안크루는 서둘러 기름을 넣고 조크루는 출항 준비와 함께 간단한 아침을 준비한다. 한 시간쯤 지났을까, 동이 트고 앞이 보여 드디어 출발이 가능하다. 모항항 입구 쪽에 암초가 있어서 암초를 피해 우회전 한 뒤 거리를 줄이려 섬에 붙어 전진한다. 파도는 어제보다 많이 줄어 마음이 편한데 물때가 문제다. 엔진을 3천 RPM까지 밀었는데 속도가 3.8노트. 2노트 가량의 조류가 배 전진 방향의 반대로 빠져나가고 있다. 이 속도로 가다가는 해가 질 때까지 목표하는 서해 갑문에 도착하기는 글렀다. 바람마저 정면에서 불어 세일도 쓸 수 없다. 이럴 땐 물때가 바뀔 때까지 인내하는 수밖에. 예측을 보니 정오쯤
[바다의 문법이야기 16] 겨울 요트 여행기(1) 코로나19 여파로 전 세계적으로 요트 품귀 현상이 벌어졌다. 요트를 가진 사람들은 갑작스런 재난에 요트에 들어가 문을 걸어 잠그고, 요트가 없는 사람들은 집을 팔고 요트에 들어간 탓이다. 함께 쓸만한 요트를 찾아보려 유럽 쪽 딜러들에게 연락을 하던 지인의 전언으로는 유럽 쪽 중개인들도 쓸만한 중고 요트가 없다며 이전보다 1.5배씩 중고 요트 값이 올랐다 한다. 그리고 그나마 국내에 있는 작은 요트 중고 사이트에도 내가 찾는 35~40피트급의 요트들은 씨가 말랐다. 아쉬움에 일본, 미국, 유럽 중고 요트 사이트에 군침을 흘리고 있는데 네이버 검색에 문득 배 한 대가 눈에 들어왔다. 참고로 기점으로 삼고 있는 김포의 아라마리나는 배 길이 40피트 이상의 마스트 높이를 가진 배들이 들어오기 힘들다. 인천을 향하는 두 번째 다리인 아라대교의 높이가 낮아 42피트급 배들이 들어오다가 나침반이 깨지고 마스트가 긁혔다는 이야기들을 다른 선장님들로부터 여럿 들었었다. 지난 가을에 모아나호와 아리엘호를 몰고 상륙정을 배에 싣고 섬에 상륙해 8명의 인원이 캠핑까지 진행했던 대모험에서 크루들을 데리고 아름다운 인천, 경기 지역의
[동남아 일주 요트 여행기] 랑카위에서 사바섬까지 #2 랑카위 공항에서 비행기에 내리니 탁 트인 평원과 특유의 더운 훈기가 이곳이 남쪽 섬임을 알려준다. 이 공항의 느낌을 어디서 느꼈었더라? 생각해 보니 4년 전 필리핀 팔라완 코론 섬 공항에서 보고 느꼈던 그 풍경들과 비슷하다. 이고 지고 온 짐을 다시 이고 지고 택시를 잡는데 한국 생활에 익숙한 크루들이 짐이 많아 택시가 실어주지 않으면 어떻게 하지? 하는 걱정을 한다. “걱정마, 이곳은 한국이 아니야, 기사들이 어떻게든 실어주고 가니까 염려 붙들어 매셔!” 국산 소형차보다 좀 더 큰 택시를 그랩 앱으로 불렀다. 트렁크에 큰 가방 세 개가 가까스로 실리고 남은 짐들은 안고 탄다. 현지 시간으로 8시. 아직 선셋 후의 노을빛이 길게 남아 30분이 넘는 시간을 이동하며 랑카위를 ‘주마간산’(走馬看山) 으로 둘러본다. 평범한 남도 섬인데 차량들은 작은 일제 차들이 많고 도로가 깨끗하다. 중간중간 큰 마트들이 보이고 곳곳에 marine 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간판들이 여럿 보인다. KFC, 맥도날드, 스타벅스, 나이키 등 익숙한 다국적 간판들이 보이고 마리나에 가까워질수록 시골에서 점점 도회지 분위기로 바뀌어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