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전칠기의 아름답고 찬란한 세계를 보여주는 ‘휘향찬란’ ‘휘향찬란’ 나전칠기는 다양한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조개마다 가진 다른 무늬, 빛깔, 패턴이 있기 때문이죠. 빛에 따라 아주 다른 분위기를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그 빛깔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기 위해 ‘휘향찬란’을 시작했습니다. 새로운 길을 향한 도전 사실 몇 해 전까지 저는 회사에서 회계 관련 일을 하던 3년차 직장인이었습니다. 하지만 회사를 다니는 동안 이 일이 나에게 맞지 않다는 생각을 마음 한편에 항상 가지고 있었죠. 그래서 나에게 딱 맞는 직업을 찾기 위해 베이킹, 가죽공예, 코딩, 일러스트, 포토샵 등 다양한 분야를 시도해보았습니다. 그러다 나전칠기를 정식으로 배울 수 있는 곳을 알게 되어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되었고, 이곳에서 명장님들께 많은 조언과 사업적인 멘토링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문화재수리기능사라는 자격증을 취득하고, 내가 만든 작품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을 보고 싶어 프리마켓을 종종 나갔었는데, 그때마다 찾아주는 분들의 많은 응원과 관심 덕분에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원데이 오프라인 클래스, 온라인 클래스로 나전칠기 귀걸이, 머리핀, 키링, 그립톡, 커스텀 제품들
[고경명의 디자인 이야기 1] 과대포장이라고요? “여보세요, 네? 50만원 벌금을 내야 한다고요?” 수입을 담당하는 직원이 전화를 끊으며 한숨을 짓습니다. 이번에 들어오는 수입품목 중에서 과대포장 검사 기준을 초과해 또 다시 벌금을 내야 한답니다. 정부의 탈 플라스틱 정책이 발표되기 전 이미 계약했던 제품이라 패키지 디자인 변경이 불가하여 그대로 수입을 했는데 과대포장으로 벌금을 받은 것입니다. 앞으로 들어올 상품들이 많기에, 패키지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지, 플라스틱 사이즈와 용량을 줄일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담당 직원이 분주해졌습니다. 그 직원이 분주해지니 디자인 담당자인 저 또한 바빠지게 되었죠. 기존에 작업했던 패키지 디자인을 새로운 사이즈에 맞춰 다시 디자인을 해야 한다는 뜻이니까요. 코로나19 발병 이후,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되면서 플라스틱은 급박하고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습니다. 그 이전에도 2015년 UN에서 기후변화협약을 맺으며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줄이기 협약을 맺고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를 노력해왔으나 코로나19 이후 개인의 위생과 안전을 중요시 여기며 플라스틱과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