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산골에서 본 ‘아르헨티나의 춤들 작품 2번’ (Argentine Dances, op 2) by 알베르토 히나스테라(Alberto Ginastera :1916~1983) 제가 있는 평창의 산골은 요즈음 푸른 물결의 춤들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고랭지 재배 주산지답게 수확을 기다리는 푸른 여름 배추들이 그 주인공들이지요. 바람과 폭우가 몰아칠 땐 마치 그 장단에 맞장구를 치듯 불협화음처럼 춤을 추는 것같이 보이기도 하고, 미풍조차 없을 때에는 고요한 호수 위를 떠다니는 백조가 춤을 추는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마지막 수확을 앞둔 지금은 끝을 향해 열정적으로 달려가는 듯합니다. 마치 얼마 전에 들었던 아르헨티나의 대평원인 팜파스를 배경으로 한 ‘아르헨티나 춤들’이라는 춤곡처럼 말이지요. 알베르토 히나스테라의 ‘아르헨티나 춤들, 작품 2번’ 제가 소개하고자 하는 춤곡은 ‘알베르토 히나스테라’가 1937년 피아노로 연주하기 위해 작곡한 ‘아르헨티나 춤들’이라는 작품입니다. 이 곡의 작곡가인 히나스테라는 아르헨티나 출신 작곡가로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아메리카 클래식 작곡가들 중 한 명이라고 해요. 그러나 자신의 제자인 ‘피아졸라’에 비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선에 담긴 당신의 마음 이야기 16] 공간이 주는 힘 10여 년 전 사랑하던 사람과 갑작스럽게 헤어졌습니다. 자의였지만 상황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이별이었습니다. 누군가를 원망해야만 할 것 같았고 상황을 정리할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이런 소식은 정말 빠르게 퍼지는 것 같습니다. 위로 문자와 전화가 빗발쳤지만 모두 피했습니다. 그때는 그것들이 위로라고 생각되지 않았습니다. 타인의 불행과 슬픔에 대한 호기심을 채우기 위한 행동이다는 비뚤어진 판단이 제 마음에 가득했습니다. 혼자만의 시간이 절실하게 필요했던 저는 자발적 고립을 선택했습니다. 휴대전화를 집에 두고 티켓만 구매해 계획 없이 제주도로 떠났습니다. 아침잠이 많은 사람인데 이상하게 오전 4시만 되면 눈이 떠졌고 뜨는 해를 보며 제주 올레길 하나 하나를 완주했습니다. 일주일이 지나고 나니 20대 때 유럽여행을 하면서 발에 물집이 터졌던 그때처럼 발 상태가 엉망이 되었지만, 생각 없이 무작정 걸었습니다. 처음 며칠은 전혀 배가 고프지 않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배가 고파지더군요. 그럼 눈에 보이는 작은 식당에 들어가 혼자 밥을 먹었습니다. 그리고 카페에 들어가 커피를 마시며 천천히 제주의 바다를 바라보았습니
여름 향 첨가 사람들은 말한다. 여름의 향기는 다른 어떤 계절보다도 짙다고. 처음엔 땀 냄새 인 줄 알았다. 여름이 뭐가 좋다고 뭐가 잘났다고 그렇게 좋아하나 싶었다. 허나, 지금의 여름은 나에게 설렘의 향을 주는 계절이 되었다. 꿉꿉한 향이 날 때면 쏟아지는 장마에 뛰어들어 비와 한 몸이 되고 파도의 향이 날 때면 에메랄드 빛 바다에 몸을 맡기며 여유를 즐기고 열대야의 향은 별을 깨끗한 하늘 높이 휘영청 올려 준다. 오색빛깔 찬란한 향들이 나를 매혹하는 짙은 계절 여름, 이 계절은 뭐든 가능할 것 같은 자신감으로 가득 찬다. 나, 너, 우리 모두 여름의 향에 취해 있다. 이 향에 취해 안 좋을 게 뭐 있을까 즐겨라 적셔라 빠져라 청춘이면 이 여름에 여름 햇빛 속 청춘은 빛나고 있다. 그 여름 속 나는 빛나고 있을까 성복고 2학년 신준환 이 글은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제167호>에 실려 있습니다.
[선에 담긴 당신의 마음 이야기 15] 반성하되 자책하지 말기! “내가 하는 일이 늘 그렇지…” “이번에도 실패 하겠지.” “안될 거야. 난 부족하니까.” 어떤 일을 시작하고 마무리할 때까지 제 머릿속을 헤집고 다녔던 말들입니다. ‘프로 자책러’ 과거의 저에게 딱 어울리는 별명이었죠. 자책은 얼른 보기에는 반성과 닮아있지만, 그 본질은 조금 다릅니다. 반성의 사전적 의미는 ‘자신의 언행에 대하여 잘못이나 부족함이 없는지 돌이켜 봄’이고, 자책의 사전적 의미는 ‘자신의 결함이나 잘못에 대하여 스스로 깊이 뉘우치고 자신을 책망함’입니다. 나의 실수나 실패에 대해 스스로 깊이 뉘우치는 것은 호전적이지만 잘못을 꾸짖거나 나무라며 못마땅하게 여기는 책망은 그것과는 전혀 다른 방향이죠. 그래서 우리는 실수나 실패에 대해 반성을 하는 것은 지향하지만 지나친 자책은 지양해야 한다고 합니다. 작거나 큰 실수, 모든 나의 선택에 있어 자책투성이였던 그 시기, 누군가가 저를 탓하지 않아도 저는 저의 행동 하나하나 곱씹고 비난하고 책망했습니다. 처음 대학 강의를 했을 때입니다. 학기 말 학생들의 강의 평가를 받고는 혼자 화장실에 들어가 30분을 펑펑 울었습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피아노협주곡(Op.7)을 통해 클라라 슈만, 새롭게 이해하기 지난 9월 27일 저녁, 광장 한 편을 빨간 홍시로 불 밝힌 예술의전당 콘서트 홀에서 ‘슈만과 클라라, 그리고 브람스’라는 주제로 연주회가 열렸습니다. 이번 연주회 프로그램에서 눈에 띄는 것은 세 음악가 각각이 작곡한 피아노협주곡을 모아놓았다는 것이었어요. 세 명 모두 당대에 둘째가라면 서러울 만큼의 뛰어난 피아니스트들이었던 만큼, 각각의 음악적 특징을 비교해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했지요.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연주가 작곡된 연도순을 따라 클라라(1834), 슈만(1841), 브람스(1858) 순으로 진행되었는데, 제목은 슈만과 클라라, 브람스의 순서로 정했다는 것입니다. 클라라가 슈만의 아내였기 때문에 슈만 뒤에 둔 것일 수도 있지만, 슈만과 브람스라는 음악계의 두 큰 거장 사이에서 클라라는 어떤 존재인지를 말하고 싶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래서 이번호에서는 클라라의 피아노 협주곡을 통해 클라라와 두 음악가 사이의 관계를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클라라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Op. 7)의 특징 악장의 구분없이 이어지는 피아노 협주곡: 클라라가 단순한 피아노곡이 아닌 오케스
콩알 하나 김 준 태 누가 흘렸을까 막내딸을 찾아가는 다 쭈그러진 시골 할머니의 구멍난 보따리에서 빠져 떨어졌을까 역전驛前광장 아스팔트 위에 밟히며 뒹구는 파아란 콩알 하나 나는 그 엄청난 생명을 집어 들어 도회지 밖으로 나가 강 건너 밭 이랑에 깊숙이 깊숙이 심어 주었다 그때 사방 팔방에서 저녁 노을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해설 하찮고 관심을 두지 않을 너무나 작은 생명에 소망을 두는 삶은 인간보다 노을이 시퍼런 눈으로 관찰하며 격려한다. 인간과의 교감은 그 할머니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서 시작될 수 있다. 막내딸을 찾아가며 보따리 보따리 싸 들고 가지만, 헐거운 매듭으로 삐져나온 아주 작은 생명을 섬세히 이해하는 마음.
한국의 ‘아리랑’과 너무 다른 스코틀랜드의 ‘아리랑’을 만나다 로버트 번즈, ‘A Red, Red Rose’(1874) ‘아리랑’만큼 세계적으로 알려진 한국 음악도 없지 않을까 합니다. 국제적 행사에서 애국가만큼이나 많이 불러지는 노래가 바로 ‘아리랑’일 테니까요. 세계를 휩쓸고 있는 K-팝의 선봉장 BTS도 빼놓지 않고 아리랑을 앨범에 수록해 발표했다지요. 그런데 영국의 스코틀랜드 사람들에게 우리의 아리랑처럼 사랑받는 노래(시)가 있으니, 바로 ‘A Red, Red Rose’라는 곡(시)입니다. 가수로서 노벨문학상까지 받은 밥 딜런은 이 노래의 가사를 두고 ‘가장 자신의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친 시’라고 말했을 정도인데, 여기서 가사를 다 소개할 수는 없지만 사랑하는 연인을 두고 먼 길을 떠나는 사람의 간절한 마음을 극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대상은 다르지만 아리랑이 그 감정을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라고 표현했다면, 이 곡(시)은 ‘나는 다시 돌아오리라. 내 사랑아, 만 마일만큼 먼 길일지라도.’라고 노래합니다. 얼핏 보면 둘 다 남녀 간의 애틋한 사랑을 표현한 듯 보이지만, 둘 사이에는 엄연하고 엄청난 역사적, 문화적
첫 눈 오는 아침 흰 눈 내리는 아침 하늘에서 하얀 눈이 내린다 소리 없이 소복 소복 땅 위에 쌓인다 세상을 하얗게 덮어 버린다 하늘에서 내리는 흰 눈은 금세라도 세상의 아름답고 추한 것 더럽고 모난 것들을 다 덮어 버린다 흰 눈처럼 세상에 추한 것, 더러운 것 모난 것, 모든 것 덮어주고 살면 얼마나 좋을까 나도 넓은 가슴으로 덮어주며 살고 싶다 이 아침 하늘에서 흰 눈은 소리 없이 한없이 내린다 이 글은 <행복한 동네문화 이야기 제160호>에 실려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