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된 만정 김소희의 ‘심청가’ 따님(박윤초)이 보시기에 어머니(김소희) 목소리의 정점은 언제셨나요? “저는 50~60대로 봐요. 고음과 저음을 힘 안 들이고 낼 수 있으셨고 꺾을 데는 분명히 꺾고 떨 데는 떨어서 소리를 낼 줄 아셨어요. 아무리 어려운 기교도 힘없이 발휘하는데 그 무렵 어머니가 ‘심청가’를 완판 녹음하셨죠.”(중앙일보 인터뷰 중) “이 대목이 좋으면, 이 스토리가 좋으면 따서 당신 것으로 삼으셨어요. 각각의 특징을 소화해서 자기화한 것이죠. 어느 ‘소리제’만을 따르면 어느 대목에선 따라 부르기 어렵지만 만정의 목소리는 둘 다 가능했어요. 그래서 만정의 제자(성창순) 중에는 이런 말을 하는 이가 있어요. ‘만정제’를 하면 동편제, 서편제는 싱거워 못 한다고…” - 양원석 고문 판소리의 자존심, 국창이라 불렸던 김소희 명창 88 서울올림픽의 폐막식을 기억하는 이들은 ‘떠나가는 배’의 소리를 맡았던 작고 단아한 만정 김소희 명창을 기억할 것이다. 판소리의 자존심, 국창이라 불렸던 김소희 명창이 타계하신지 올해로 30년. 세월이 흘러 지금은 그가 가르친 안숙선, 신영희 명창 등 후학들의 소리 속에, 또 오래된 옛 자료들 속에서 그 분의 흔적을, 그
								목포 판소리, 유학 3년! 딸, 명실상부한 어린이 유망주 소리꾼 돌이켜보면, 유학 생활을 시작 한지 반 년 정도 되었을 무렵에 ‘행복한동네문화이야기’ 지면(현 인터넷판 더 컬처)에 근황 글을 남겼었는데, 딸아이의 목포 판소리 유학 생활이 어느덧 3년이 넘었다. 귀엽고 똘망똘망했던 꼬마는 이제 초등학교 6학년이 되어 얼굴에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계가 비친다. 그 사이 아이는 훌륭하신 할머니 명창 선생님 아래에서 열심히 소리를 연마해 국내 최고 권위의 전주대사습 판소리 초등부 대회 장원을 두 번이나 차지하고, KBS 어린이 판소리 왕중왕대회에서도 대상을 받아 명실상부한 어린이 유망주 소리꾼이 되었다. 그간 KBS 아침마당, 광주 MBC 프로그램 등 매스컴과 방송들에도 여러 번 소개가 되었고, 작년부터는 이런 저런 좋은 자리와 행사들에 초청되어 소리 잘하는 어린이 소리꾼으로 소개되고, 판소리를 들려드리며 관객분들의 박수를 받고 있다. 판소리 대회나 공연 등에 가면 딸아이를 알아보고 사진을 찍자고 하시는 분들도 늘고, 그 중에는 싸인을 해 달라 하시는 분들도 있다. 지금도 이런저런 공연들과 방송 촬영 등이 계속 진행 중이다. 정작, 아빠의 고민 아빠인 나의 업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