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파스토리] '나의 길' vs '아빠의 길' 어느덧 세 아이의 아빠가 되면서 ‘아빠로서 나’와 원래 ‘나’와의 사이에서 많은 고민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올해가 가기 전, 그렇게 제가 원하는 것과 아빠이기에 감당해야 하는 선택의 귀로에서 겪었던 아쉬운 경험이 있었습니다. 바로 제 인생의 전환점이 될 수도 있었을 스피치 대회를 소중한 첫째 딸아이의 소풍을 위해서 포기해야만 했던 것입니다. 저는 매주 목요일 저녁에 ‘토스트 마스터즈’라는 영어모임을 가는데 그 토스트 마스터즈는 전 세계적인 모임이라 매년 상반기, 하반기에 스피치 컨테스트를 합니다. 특히 하반기 컨테스트는 4가지 컨셉 중 하나를 주제로 정하여 대회를 하는데 올해는 ‘유머러스 스피치’라는 컨셉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원래 말하는 것과 사람들 웃기는 것을 좋아하고, 또한 내 유머가 영어로도 통할지 테스트도 해보고 싶은 마음에 대회에 참가했습니다. 하지만 영어는 한국말만큼 애드립이 되지 않아 안타깝게 탈락했고, 한국어 유머러스 스피치에서 제가 속한 클럽의 대표로 선정되어 그 다음 대회인 ‘Area 스피치 대회’에 출전하게 되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사람들을 웃기는 것을 좋아했는데 사람들 앞에서 부끄럽지
[주수연의 인생 단상] 아이의 시간과 나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오늘은 뭐하고 놀지?’ 여섯살인 딸 아이는 매일 고민합니다. 특히 어린이집을 가지 않는 주말이면, 어떤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엄마, 아빠와 어떤 놀이를 같이할지, 놀이터에 나가서 놀지, 어떤 만화영화를 볼지 고민합니다. “엄마, 나 오늘 만화 3개 볼거야.” 아이는 당당하게 말합니다. “어떤 만화 볼건데?” TV에서 하는 정규 만화 프로그램을 시청하지 않고, 보통 OTT(Over The Top) Box를 통해 만화를 보여주는 저는 구체적으로 어떤 만화를 볼지 물어보곤 합니다. “포켓몬스터, 가제트, 옥토넛” 장르를 불문하고 다양한 만화를 섭렵하는 아이에게 교육적으로 괜찮은지 해가 되는지 알기 위해 함께 만화를 시청할 필요가 있지만, 그것보다 대답을 들을 때마다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이 있습니다. ‘음, 1시간 30분이 걸리겠군.’ 즉 시간을 얼마나 확보할 수 있는지를 가늠하는 것입니다. 1시간이 확보되면 무얼 하고, 2시간이 확보되면 무얼 해야겠다는 계획을 세우는 것이지요. 저는 이기적인 엄마입니다. 만화를 함께 시청하며 공감하고 공통된 주제에 대해 논하는 것이 아이 교육에 좋습니다. 하지만
토닥토닥 엄마 힘내~ 벌써 우리 아기 예나가 세상에 나온지 1년이 되었습니다. 저희 부부는 결혼하고 1년정도 후에 아기를 가지려고 가족계획을 세웠어요. 친구들을 통해 아기가 잘 생기지 않는 경우를 많이 봐서 조급하게 마음을 갖지 않으려 했는데 감사하게도 1년만에 아이가 생겼습니다. 아기를 임신하고 2~3개월 즈음, 2019년 크리스마스였습니다. 교회에서 성탄절 행사를 하느라 평소처럼 막 뛰어다니고 즐겁게 하루를 보낸 후, 저녁에 감자탕을 먹으러 갔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왈칵하는 느낌이 들어서 깜짝 놀라 화장실에 가보니 하혈을 하는게 아니겠어요? 급하게 분만실을 찾아가 영화에서만 보던 수술실같은 침대에 누웠는데 그때 엄습하던 두려움은 아직도 생생합니다. 그래도 내 자식인데 ‘나 때문에 잘못되면 어떻게 하지?’라는 마음에 아기를 위해서 살려달라는 마음으로 처음 간절히 기도했죠. 그 때 당시에 ‘엄마’라는 이름의 책임감이 처음 생겼던 것 같습니다. 예정일은 2020년 7월 11일. 하지만 6월 30일날 갑자기 말로만 듣던 이슬이 비친다는 현상이 생기며 아기가 나올 조짐이 보여 산부인과를 찾았습니다. 14시간 28분의 산통 끝에 세상에 나온 예나를 만났죠. 아기가
나는 다시 시작하기로 했다 결혼 후부터 지금까지 15년 동안이나 이사 갈 때마다 싸매고 다녔던 대학교 전공책을 미련 없이 싹 다 버렸습니다. 저는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언어들에 관심이 있어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것을 좋아했어요. 하지만 막상 언어를 전공으로 선택하니 잘해야 한다는 부담과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점점 커져 즐겁게 공부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시험에 대한 압박감에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하고, 잠도 편히 자지 못하며 피 말리듯 했던 통번역 대학원 시험에 낙방을 하고서는 다시 공부할 엄두가 나지 않았습니다. 어머니의 기대를 무너뜨리고 실망시켰다는 자책감과 다시는 그렇게 힘들게 공부하고 싶지 않은 생각이 강했지만, 그럼에도 마음 한편에는 여전히 미련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결혼과 출산으로 직장을 그만둔 저는 다시 빨리 일을 하고 싶었지만, 도저히 갓난아이를 시댁이나 친정 부모님께 맡길 수 없는 상황이라, 몇 년간 육아에만 전념해야 했습니다. 결혼 초반 남편은 직장에 잘 적응하지 못해 자주 옮겨 저희의 생활은 매우 불안정했어요. 게다가 밤늦게까지 일을 하니 아이를 키우는 것은 오로지 저의 몫이었죠. 새벽마다 깨어 우는 아이를 홀로 달랠 때는 한 번도
[선에 담긴 당신의 마음 이야기 10] 마음을 알아가는 드로잉 시간 ▲ Photo by Heather McKean on Unsplash 초등학교 때, 친구에게 알록달록 귀여운 지우개를 선물 받은 적이 있어요. 너무 예뻐서 보물 상자에 고이 담아두었죠. 한참을 흐뭇하게 바라봤는데 여섯 달쯤 지났을까요? 조심스레 꺼낸 지우개는 찐득찐득해져 케이스에 붙고 엉망이 돼서 무척 속상했던 기억이 납니다. 지우개를 오랫동안 그대로 두면 녹아내려 버린다는 걸 몰랐던 거죠. 아무리 소중한 것이라도 제대로 들여다보고 알아가지 않으면 온전하게 지켜낼 수 없다는 걸 배웠습니다. 소중하다는 걸 잘 알면서도 제대로 들여다보기 어려운 대상이 있으세요? 어쩌면 그 대상이 ‘나의 마음’은 아니었을까요? 마음을 알아가는 1단계 - 시선 가져오기 작년부터 육아로 힘든 엄마들을 위해 힐링 드로잉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 만나 함께 그림을 그리는 시간이죠. 하지만 저희가 드로잉보다 더 열심히 준비하는 것은 바쁜 일상을 잠시 멈추고 마음에 집중하는 시간을 만들어드리는 일입니다. “오늘은 어떤 아침을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