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을 전하는 허브스토리 3] 12월의 허브이야기 캐모마일 [Anthemis Noblilis] 캐모마일(Chamomile)은 지중해에서 2000년 넘도록 사용되었던 허브입니다. 새끼손톱만 한 크기의 앙증맞은 꽃을 피우는 캐모마일은 그 향이 국화 향과 친숙하여 많은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으며, 고대의 역사와 함께할 정도로 유럽 전 지역에 퍼져있죠. 캐모마일의 향은 나무에서 떨어진 사과 향이 난다고 하여 ‘땅의 사과’라는 희랍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스페인에서는 작은 사과의 뜻인 ‘만자닐라(Manzanilla)’라고 부르고, 17세기 식물학자 니콜라이 칼페머에 의하면 고대 이집트에서는 신성한 것으로 여겨 태양의 신 ‘라’에게 바쳤으며, 고대 이집트의 승려들은 신경질환에 이 허브를 사용했다는 기록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색슨족은 이것을 9개의 신성한 허브 중에 하나로 숭배하고 ‘마우덴(Mauthen)’이라 불렀습니다. 캐모마일은 로만 캐모마일과 저먼 캐모마일 두 종류의 에센셜오일이 있는데 로만 캐모마일은 옆에 있는 다른 식물을 건강하게 보살핀다고 하여 ‘식물의 의사’라는 별명이 붙었고, 저먼 캐모마일은 꽃은 데이지와 비슷한 작은 백색으로 로만보다 더 강력한 항염
[향을 전하는 허브스토리 10] 7월의 허브이야기 ‘주니퍼베리’(Juniper berry) Juniper라는 영어 이름은 ‘어린 장과’를 의미하는 라틴어 juniore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장과’는 많은 씨가 들어 있는 어린 열매, 과피가 다육질인 열매를 뜻합니다. 한국에서는 노간주나무 열매라고 합니다. 이 나무는 수천 년 전부터 전염병 확산방지와 종교적 의식을 목적으로 집과 장례식에서 태웠습니다. 이집트에서는 미라를 만들 때 사용했고 정신과 육체를 정화시키기 위해 이 향을 피웠으며, 중세에는 마귀, 질병 독을 가진 해충들을 퇴치한다고 여겨져 각 집의 입구 쪽에 심기도 했습니다. 주로 악마들의 눈으로부터 집을 보호하는 데 이용되었습니다. 19세기 프랑스에서는 천연두의 전염을 막기 위해 로즈메리와 함께 태웠으며 콜레라, 장티푸스, 페스트 등의 예방에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17세기에는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인 프란시스퀴스 실비우스(Dr. Franciscus Sylvius)가 피를 깨끗하게 해준다고 해서 두 번 증류한 그레인 알코올과 쥬니퍼베리를 섞어 만든 주니에브르(Genièvre)란 술을 선보였는데, 당시 네덜란드를 점령 중이던 영국의 병사들에게 특히 이 술의
[향을 전하는 허브스토리 12] 9월의 허브이야기 제라늄(Geranium) 학명:Pelargonium graveolens 제라늄(Geranium)은 상냥하고 따뜻함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허브는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지중해 지역의 유럽, 모로코, 이집트, 러시아, 중국 등 전 세계에서 재배하는 ‘쥐손이풀과’에 해당합니다. 제라늄의 학명인 ‘Pelargonium graveolens’는 길게 뻗은 제라늄의 씨앗이 황새의 부리를 닮았다고 하여 ‘황새’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pelargós’에서 유래하였고, ‘graveolens’는 라틴어로 ‘강렬한’, ‘묵직한’을 의미하는 ‘gravis’와 ‘냄새를 풍기다’라는 뜻의 ‘óleo’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18세기에 유럽으로 도입되었는데 제라늄 품종은 200여 가지가 있으며, 꽃의 형태와 향기가 다양한데 에센셜 오일로 많이 사용하는 품종은 제라늄과 로즈 제라늄, 애플 제라늄(Pelargonium odoratissimum) 등이 있습니다. 이름에서처럼 꽃에서 사과 향이 난다고 하여 애플 제라늄이고 장미 제라늄은 장미 향이 납니다. 영국에서는 겨울철에도 장미 향을 맡기 위해 장미의 향기와 비슷한 장미 제라늄을 실내
[향을 전하는 허브스토리 3] 12월의 허브이야기 캐모마일 학명 Anthemis Noblilis 캐모마일(Chamomile)은 지중해에서 2000년 넘도록 사용되었던 허브입니다. 새끼손톱만 한 크기의 앙증맞은 꽃을 피우는 캐모마일은 그 향이 국화 향과 친숙하여 많은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으며, 고대의 역사와 함께할 정도로 유럽 전 지역에 퍼져있죠. 캐모마일의 향은 나무에서 떨어진 사과 향이 난다고 하여 ‘땅의 사과’라는 희랍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스페인에서는 작은 사과의 뜻인 ‘만자닐라(Manzanilla)’라고 부르고, 17세기 식물학자 니콜라이 칼페머에 의하면 고대 이집트에서는 신성한 것으로 여겨 태양의 신 ‘라’에게 바쳤으며, 고대 이집트의 승려들은 신경질환에 이 허브를 사용했다는 기록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색슨족은 이것을 9개의 신성한 허브 중에 하나로 숭배하고 ‘마우덴(Mauthen)’이라 불렀습니다. 캐모마일은 로만 캐모마일과 저먼 캐모마일 두 종류의 에센셜오일이 있는데 로만 캐모마일은 옆에 있는 다른 식물을 건강하게 보살핀다고 하여 ‘식물의 의사’라는 별명이 붙었고, 저먼 캐모마일은 꽃은 데이지와 비슷한 작은 백색으로 로만보다 더 강력한 항
[향을 전하는 허브스토리 11] 8월의 허브이야기 페퍼민트 (peppermint)학명:Mentha piperita 페퍼민트의 이름 ‘멘타(Mentha)’는 라틴어 ‘Mentha’에서 파생되었으며 워터민트(watermint, Mentha aquatica)와 스피어민트(spearmint, Mentha spicata)의 교잡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박하(薄荷)’로 알려져 있습니다. 페퍼민트는 차가운 맛, 매운 맛이 강한 향신료로 여러해살이인 쌍떡잎식물로 꿀풀과에 해당합니다. 아무렇게나 심어놓아도 제멋대로 쑥쑥 잘 자라나기에 허브 텃밭을 꾸준히 돌볼 자신이 없다면 박하를 심는 것을 추천합니다. 로마의 과학자이자 역사가인 플리니(Pliny)는 ‘민트 향기는 잃었던 기운을 되찾아 줄 수 있다’라는 기록을 남겼으며, 중세 시대에는 소화계 질환 치료에 쓰였고, 인도의 아유르베다에서는 순환계, 소화계, 신경계, 호흡계의 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른 많은 약초와 마찬가지로 고대의 이집트 희랍인 그리고 로마인에게 해독작용이 좋은 허브로 널리 알려지다 보니 연회석에 참석할 때는 이 허브로 만든 관을 쓰고 참석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 허브를 많은 사람이
[향을 전하는 허브스토리 7] 4월의 허브이야기 Fennel 펜넬 학명 Foeniculum Vulgare 펜넬의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이며, 학명인 ‘Foeniculum’은 마른풀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리스 신화에는 포로 메디우스가 인간을 위하여 태양의 불을 훔쳐서 펜넬의 줄기에 불을 붙여 지상으로 내려왔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고대 이집트 파피루스에도 기록되어 있는 역사가 오래된 재배식물로 예배당에 갈 때 손수건에 펜넬 씨를 싸서 가서 설교가 길어지면 입 안에 넣고 씹어 먹고 시장기와 지루함을 잊을 수 있어 ‘예배의 씨’라는 애칭으로 불리게 되었답니다. 당시 가난한 사람들은 펜넬 씨를 먹고 허기를 잊을 수 있었고, 귀족들은 늙지 않는 비결로 펜넬을 다방면으로 애용했습니다. 스페인에서는 용기의 상징으로 승리한 투우사에게 펜넬 목걸이를 걸어주고, 로마 시대에는 장수의 씨로 불리며 체중 감량에 효능이 있다 하여 마아트론이라 불렀는데 ‘marano’는 ‘여위다’라는 라틴어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중국에서는 펜넬을 ‘회향’이라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산미나리’로 부르며 구풍제로 위통·복통에 쓰이고 산모가 젖이 부족할 때 최유제로 많이 이용하고
[향을 전하는 허브스토리 5] 2월의 허브이야기 클라리 세이지 Clary Sage 학명 Salvia Sclarea 허브인 클라리세이지는 이름만 들어도 맑고 깨끗한 느낌이 전해집니다. 클라리(Clary)는 ‘맑은(Clear)’의 의미를 지니고 있고, 세이지(Sage)는 ‘구하다(Save)’의 의미가 있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클라리세이지가 우리의 눈을 밝고 깨끗하게 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의미처럼 중세 유럽에서는 눈에 들어간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었습니다. 클라리세이지의 효능 때문에 중세 시대에는 이 식물을 ‘Oculus Christ’라고 하였으며, ‘그리스도의 눈 (The eye of Christ)’이란 뜻으로 눈의 염증을 다스리는 용도로 사용하였습니다. 클라리세이지의 특징은 약초 냄새와 과일 향이 섞인 달콤한 향이 납니다. 이러한 효능 때문에 독일에서는 포도주나 맥주에 향을 넣기도 하고 술을 빨리 숙성시키고 알코올 도수를 높이기 위해 첨가하기도 했습니다. 뇌와 정신에 대한 작용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뇌의 시상하부에 자극을 줌으로써 과도한 피로나 의욕 상실, 분노와 흥분, 우울증, 근심 걱정, 두려움을
[향을 전하는 허브스토리 9] 5월의 허브이야기재스민 (Jasmin)학명 : Jasminum Graniflorum 재스민은 사랑의 묘약으로 불리어지는 꽃으로 다양한 허브들 중에서도 고급스럽기로 유명한 허브입니다. 에센셜오일 중의 최고로 ‘천사의 향’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꽃말은 ‘사랑스러움’, ‘당신은 내 것’이라는 의미가 있답니다. 또한 재스민은 달빛 아래에서 더욱 하얗게 빛나기 때문에 ‘숲속의 달빛 (Moonlight of grove)’이라는 별명도 따라다닙니다. 재스민의 꽃은 매우 독특한 향을 지니고 있으며, 약간 붉은 빛을 띤 브라운 색상의 점도를 가진 액체로 매우 풍부하고 온화한 꽃향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프랑스의 향수 전문가들은 거의 모든 고급향수를 만드는 데 필수적으로 재스민을 원료로 사용하였고, 유사 종을 사용하는 것과 합치면 여성 향수의 거의 83%에 사용되고 있는 향입니다.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꽃차로서, 재스민차를 중국에서는 말리화차(茉莉花茶)로 부르는데 학명은 재스민 삼박(Jasminum sambac)이며 이 말리화도 에센셜오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인도 신화에서는 창조의 신 ‘비쉬누’의 부인이자 부와 행운을 관장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