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적 착시현상에 빠뜨려 현실에서 점점 더 고립시키는 공감형AI
정서적 착시현상에 빠뜨려 현실에서 점점 더 고립시키는 공감형AI 2013년, AI와 사랑에 빠진 남자주인공을 그린 영화 Her(그녀)가 개봉했을 때 그 이야기가 현실이 될꺼라고는 상상도 못했습니다. 그런데 그로부터 12년이 흐른 2025년, ‘남편보다 AI가 낫다’ 라는 신문기사 타이틀을 보게 될 줄이야... 챗GPT를 비롯해 워봇(Woebot), 와이사(Wysa), 유퍼(Youper) 등 ‘감성형, 대화형’ 인공지능(AI)이 확산되면서 이를 통해 위로받고 외로움을 달래는 이용자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이 자신의 고민을 인공지능에게 털어놓으면 ‘그 모든 감정을 혼자 안고 있었다니, 지금까지 참느라 고생했어요’, ‘정말 힘들었겠구나’, ‘네 잘못이 아니야, 너 자신을 미워하지마’ 등의 반응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들 AI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마치 정서적 유대감을 느끼는 것처럼 반응함으로 특히 2030 세대나 1인 가구 사이에서 F(공감)형 AI로 불리며 큰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주부 최모씨는 “남편에게 육아 스트레스를 털어놓고 싶어도 늘 부부싸움으로 연결되기 십상이라 대화 자체가 쉽지 않았는데, AI와는 다툴 일이 없으니 무슨 말이든 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