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린재나무 (Symplocos sawafutagi) 봄의 끝자락이기도 하고 여름의 시작이기도 한 5월, 녹색이 짙어지는 시기에 주변의 산 숲속으로 들어가면 눈이 부시도록 흰 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있는 나무를 발견 할 수 있습니다. 눈처럼 흰 꽃은 은은한 향기도 있어서 가까이 들여다보게 되지만 사실 제법 큰 키로 자라는 나무이기 때문에 코를 가까이 할 만큼 작은 나무이며 꽃이 핀 것을 만나려면 발품을 팔아야 할 때도 있습니다. 이 나무의 이름은 ‘노린재나무’인데 이름을 모를 때는 흰 꽃이 매력적으로 다가오다가 나무 이름을 알면 약간은 거리를 두는 경우가 생겨납니다. 그것은 좋지 않은 냄새를 풍기는 곤충인 ‘노린재’가 생각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노린재나무는 은은한 향기가 나기도 하고, 가지나 잎을 태우면 노란색으로 변하고, 그것을 염료로 사용해 옷감에 물을 들였기 때문에 노린재나무가 된 것이라 합니다. 꽃말은 동의(뜻을 같이 하다)라고 하는데 나무 이름을 노린재나무라 하지 말고 노란재나무라 했다면 냄새나는 곤충도 생각나지 않고 염료로서의 이용 가치에 고마움을 느끼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도 저의 이런 생각에 동의 하시는지요? 하지만 이름은 이미
마라톤, 13년차, 구력 40년을 이기다니!! 요즘 마라톤 인구가 1000만 명에 가까울 정도로 급성장 했습니다. 눈에 띄게 젊은 사람들의 마라톤 동호회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전에는 대략 40~60세 정도의 남자들이 마라톤 훈련 하는 모습을 보았는데 말이죠. 젊은 사람들이 많아진 것이 좋긴 합니다. 특히 최근 슬로우 러닝으로 사람들이 달리기 하는데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훈련 관련된 영상들도 많으니 내가 달리겠다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할 수가 있는 것이죠. 저는 2013년 유방암 환우들을 위한 핑크리본마라톤 10km를 시작으로 달리기를 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4월 19일(토) 제1회 서윤복 마라톤에 참가를 했지요. 사실 마라톤 구력 13년 째 이지만 거의 뒤꽁무니에서 헥헥 거리며 완주를 했던 터라, 전문 러닝 크루들과 비교도 되지 않습니다. 2017년 춘천 마라톤 42.195km에 도전했고, 하프 달리기는 이번까지 5차례 정도 인 듯합니다. 10km는 그닥 힘들이지 않고 달릴 수가 있지요. 훈련할 때 평지를 달리기보다 언덕 달리기 연습을 해서 평지는 훨씬 쉽게 달릴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서윤복 마라톤을 참가할 때, 달리기 훈련도 전보다 많
봄의 고백 황의수 초록이 춤추는 길목 바람에 피어난 노래 민들레 한 송이 봄의 고백을 전하네 햇살 머금은 그대 눈빛 내 마음도 살며시 피어난다 꽃잎 닿은 손끝 따라 너에게 번져간다 봄은 조용히 우리 사이에 머물렀다
봄 하나님 김정임 봄 하나님은 바쁘시다 추운 땅 밑에 불 지피시고 연인들이 선 자리마다 꽃망울 터뜨리시고 사람들의 눈이 닿는 먼 산머리마다 가지런히 이발도 하신다 아이들을 위해 하늘에 솜사탕도 만들어 놓고
에세이,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사소한 것들로 글쓰기 한 알 씨앗에서 싹이 트고 가지가 뻗고 꽃이 피듯, ‘귀뚜라미’란 제목에서 시작해 세상의 가을을 향해 번져 나가는 글이라야지, 허턱 ‘가을’이라고 대담하게 제목을 붙였다가 ‘귀뚜라미’로 쫄아 드는 글은 소담스럽지 못한 법이다. (이태준, 《문장강화》) 처음 에세이를 쓰자 하면 마음이 무척 거창해진다. 인생의 사유를 담은 에세이를 쓰고 싶다. 지금껏 살아오며 깨달은 수많은 통찰들을 어떻게든 글에 담아내고 싶다. 인생의 굴곡으로만 따지자면 그 어떤 「인간극장」 출연자보다 못할 것 없고, 통찰로 보자면 이어령 선생 못지않게 깊은 깨달음을 얻었다 싶은 게 우리네 모두의 인생이다. 그것을 글에 담겠다는 포부가 거창하다. 하지만 정작 한두 꼭지를 쓰고 나면 내 진중한 사유는 이미 밑천이 다 떨어져 버리고 더 이상 뭘 써야 할지 모르겠다. 그 많던 내 인생의 스토리와 통찰은 다 어디로 가 버린 것일까. 에세이 클럽 과제 중 ‘사소한 것으로 글쓰기’가 있다. 개인적으로는 가장 중요하고 가장 기본적인 글쓰기 과제라고 여긴다. 아주 사소한 것, 가능한 한 더욱더 사소한 것들에서 시작하는 글을 쓰기. 여기서 ‘사소한’이란 물
한민족 국악의 메카, ‘목포의 위엄’ 판소리하는 딸아이가 그간 제법 자라나 여기저기 자리에 불려 다니게 되면서 자주 듣는 질문들이 있습니다. “왜 목포에 오게 되었어요?”, “아~ 예, 판소리사를 공부하다 보니 목포가 20세기 판소리사에서 어마어마한 곳이더라고요...” 하고 시작되는 긴 이야기. 현대 판소리사에서의 목포의 위엄은 실로 대단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민족 국악의 메카인 목포 판소리 역사의 주요 인물들, ‘목포의 위엄’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장월중선’에 의해 설립된 ‘목포국악원’ 20세기 목포 국악의 산실은 ‘목포국악원’에서 출발합니다. 목포국악원은 임방울의 라이벌이었던 장판개의 조카 ‘장월중선’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국악원의 초대 원장은 김창훈, 강사는 장월중선이 맡았죠. 목포 국악원의 초대 강사 장월중선(장순애, 1925~1998)은 전통 예인 집안 출신이었는데 판소리, 가야금, 가야금병창, 거문고, 아쟁, 전통무 등에 두루 뛰어난 타고난 예인이었습니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국악 스타였던 임방울의 협률사 및 국극사, 조선창극단 등의 창극 단체와 여성국극협회, 임춘앵이 만든 여성 국극단체 등에서 배우로 출연하였고 그곳에서 여러 작품들을 작